16일 tvN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록’(이하 유퀴즈)에서는 중증 장애를 딛고 만학도의 길을 거쳐 교수로 활발히 활동 중인 ‘이범식씨’의 감동 스토리가 전해졌다.
이범식씨는 과거 1급 지체장애인으로서 47세에 대학에 들어가 화제를 모았었다. 그는 중증 장애를 딛고 50대에 교수가 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해 털어놓으며 희망을 전했다.
이 교수는 22세의 어린 나이에 전기 공사를 하다 감전돼 두 팔과 한쪽 다리를 절단해야 하는 역경을 겪었다며, 잠에 들 때면 영원히 잠들기를 바랬고 누구보다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냈던 그는 마음을 다잡게 된 순간이 있었다고 전했다.
그가 어느 날 병실에 누워 밖을 보는데 좀처럼 눈이 오지 않는 대구에서 눈이 내렸다고 한다. 그는 눈이 떨어지자마자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것을 보고 내 인생도 저렇게 가치 없이 사라지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며 잠이 들었다.
그런데 새벽녘에 굉장히 환한 것을 느끼고 눈을 떠보니 바깥이 온통 하얀색이 되어있었다. 그는 그 장면을 보고 희망을 얻어 살아갈 마음을 굳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왼발로 숟가락을 쓰는 데 한 달 정도 걸렸고 젓가락을 벌리고 오므리는 데에만 반년이 넘게 걸렸다며 수저를 스스로 쓸 수 있게 됐을 때 너무 행복했다고 말했다.
수저를 쓰게 된 이후로 큰 용기를 얻었다는 그는 그 후로 글씨 쓰는 것을 연습했고 “이제는 왼발로 써도 손으로 쓰던 글씨체가 나오더라”며 그렇게 손 대신 발을 사용하는 연습을 하고 다시 세상으로 나갈 준비를 했다고 했다.
47세란 늦은 나이에 불편한 몸을 이끌고 버스로 등하교를 했던 그는 “목숨 걸고 학교에 다녔다”며 “교수님께 양해를 구하고 맨 앞에 앉아 왼발로 줄긋고 필기하며 공부했다”고 과거를 떠올렸다.
그렇게 노력한 끝에 장학금도 타고 학사, 석사를 거쳐 7년의 공부 끝에 그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좋은 성과를 이뤄냈다. 이 교수는 자신을 늘 응원해 주고 지지해 준 어머니와 아내에게도 고마움을 표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앞으로의 목표는 장애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센터를 만드는 것과 희망 전도사가 되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장애라는 건 신체 기능 중 일부분의 불능 상태를 말한다. 누구는 눈이 크고 누구는 눈이 작듯이 몸이 건강한 사람이 있고 몸이 조금 불편한 사람이 있다는 식으로 봐주면 좋겠다”고 말했다.